천연기념물(야생조수류)    천연기념물(야생수류)   사향노루
홈으로로그인회원가입이메일사이트맵
사향노루

한국의 천연기념물

사향노루는 암수 모두 뿔이 없고 수컷 위턱에는 5-6㎝에 이르는 잘 발달한 송곳니가 있어 입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지만 암컷은 수컷과 달리 송곳니가 작아 밖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사향노루의 몸은 회갈색을 띄고 털은 거칠며, 목 뒤에서 허리에 걸쳐 옅은 유백색의 큰점모양 무늬가 몸통 외측, 등, 가슴, 엉덩이에 있다.
사향노루는 암수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몸통길이가 65~87㎝, 키 80~105㎝, 뒷발길이 23~26㎝, 어깨높이 50㎝ 정도 되며 체중은 6~15㎏의 비교적 작은 체구다. 이들은 발굽이 작고 앞·뒷다리가 대체로 짧으나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5㎝ 정도 길다. 꼬리는 3~4㎝에 지나지 않아 잘 보이지 않는다.
노루와 달리 안와아래샘(infraorbital gland)이 없으나 꼬리샘은 있다. 사향노루는 이 꼬리샘의 분비물을 나무줄기나 나뭇가지 등에 분비하여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는데 이용한다.
수컷의 경우는 특이하게 배꼽과 생식기 사이에 사향샘이 있는 사향주머니(일명 사향낭)가 있으며 이 구조물은 성성숙이 되는 시기부터 발달된다.
사향노루는 사슴과 달리 담낭이 있으며 1쌍의 젖샘을 갖고 있다. 이빨은 앞니 0/3, 송곳니 1/1, 작은어금니 3/3, 큰어금니 3/3으로 모두 34개다.
사향노루는 바위가 많은 해발 800m 이상의 소나무나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혼효림이 주된 서식지이다.
먹이는 주로 바위나 나무껍질에 붙어사는 이끼류이며 초본, 관목 및 교목의 어린 싹과 잎, 연한 가지, 각종 열매를 먹는다.
시각과 청각이 매우 예민하고 겁이 많으며 행동 권역은 서식 환경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2.5~32㏊로 아주 다양하다.
사향노루는 일반적으로 단독 생활을 하지만 발정기에는 어미와 새끼가 무리를 지어 생활하기도 한다.
암컷 사향노루의 성성숙은 생후 약 1.5년에 이루어져 이때부터 발정이 시작되어 임신이 가능하다. 대체로 짝짓기가 10월경 시작되어 1월까지 이어 진다. 이 시기에는 수컷의 사향샘이 아주 발달하면서 사향을 풍겨 암컷을 유인한다. 사향노루의 임신기간은 180일로 발정기가 대체로 11~12월 사이에 집중되기 때문에 출산은 이듬해 5~6월이 되며 일부는 7월에 출산하기도 하는데 한번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6년 전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에 의하면 지리산, 아미산, 대암산, 황병산, 건봉산, 비룡산 등에 16마리 정도가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2003년 환경부 미발표 비공식 자료에 의하면 비무장지대를 비롯한 설악산, 건봉산, 오대산, 점봉산, 방태산, 지리산, 금장산, 가야산 등에 75~115마리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2007년 민통선과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에 의하면 강원도 화천군 백석산 일대, 양구군 천미리 일대, 도솔산 부근, 백암산 일대, 두타연 북쪽 능선, 고성 향로봉, 평화의 댐 지역 등에 소수가 분포하는 것으로 탐문 보고된 바 있다.
사향노루는 우리나라 이외에 만주, 동부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지역과 북한의 백두산, 묘향산, 천마산, 자강도, 양강도, 함경도 등에도 분포한다.
과거에는 지리산에서 백두산까지 전국에 널리 분포하던 사향노루이지만 한약재인 사향을 얻기 위해 남획하고 자연을 훼손하는 행위 등으로 서식지가 파괴됨에 따라 현재는 절종위기에 처한 대표적인 동물의 하나가 되었다.
환경부는 이와 같은 점에서 사향노루 등 멸종위기종 동식물의 증식과 복원을 위해 "멸종위기종 증식·복원 10년 (2006~2015) 종합계획"을 세워 현재 진행 중이다.